공공 디바이스란?
공공수요에 적용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스마트 디바이스
사물인터넷과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을 융합한 편리하고 안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
건강, 도시, 복지, 환경, 안전등 관련 사회문제 해결과 약자 보호를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
향상을 위한 제품

사업 개요
추진
배경
필요성
사회안전, 약자보호 등 수요가 큰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 디바이스*
제품 개발 및 시범 서비스를 통한 산업 활성화 촉진
-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공분야 5대* 융합산업에 적합한
사회문제 해결형 공공서비스 수요 발굴
사물인터넷(IoT: Internet of Things)*과 스마트 디바이스 기술을 융합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임
- 공공분야의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및 활용 가능한 서비스 등
비즈니스 모델 미비
※ 스마트 디바이스
사물인터넷(Internet of Things) 환경에서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자, 사물 간 전달하는 스마트 센서
모듈이 적용된 지능형 단말을 포함하는 기기
※ 공공서비스 5대 분야
스마트 건강, 스마트 도시, 스마트 복지, 스마트 환경, 스마트 안전
< 출처 : 4차산업혁명위원회, 4차산업혁명 정책방향 (2017. 10.) >
※ 사물인터넷(IoT : Internet of Things)
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,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
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
추진 방향
공공
매칭
동반
성장
공공수요처(지자체 및 공공기관) 매칭을 통한 스마트 디바이스 중소기업을
발굴하여 공동사업 추진
지자체(공공수요), 중소기업(기기공급), 이통사(서비스 창출) 등 유기적인
결합을 통한 동반성장 체계 마련
기대 효과
산업적
측면
스마트 디바이스 관련 기업의 초기 시장 진입을 지원하여 관련 산업 생태계
활성화 기반 조성
사회적
측면
스마트디바이스 제품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
해소하기 위한 공공디바이스 확산 체계 마련
추진 절차

사업추진 체계
